WebSocket과 HTTP의 목적
WebSocket과 HTTP는 둘 다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지만,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며 목적도 다릅니다.
1.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요청-응답 기반 프로토콜입니다. 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 사용되며,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하는 구조를 따릅니다.
- 단방향 통신: 클라이언트(예: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반환합니다. 통신은 요청-응답이 완료되면 연결이 종료됩니다.
- 상태 비저장성: HTTP는 상태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즉, 이전 요청의 상태를 기억하지 않고, 각 요청이 독립적입니다.
- 주요 용도: 웹 페이지, API, 파일 다운로드 등 웹 상에서의 자원 요청에 사용됩니다.
2. WebSocket
WebSocket은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로,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영구적인 연결을 제공합니다.
- 양방향 통신: WebSocket은 한 번 연결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채널을 유지합니다. 이로 인해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 지속적인 연결: 연결이 설정되면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지 않아도 서버에서 데이터를 즉시 보낼 수 있습니다.
- 주요 용도: 실시간 채팅, 온라인 게임, 주식 가격 스트리밍, IoT 장치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요약하면, Node.js는 다음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합니다:
-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WebSocket을 활용한 실시간 채팅, 온라인 게임, 주식 가격 스트리밍 등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
API 서버: RESTful API나 GraphQL을 구현하여 빠른 응답 시간과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API 서버 구축에 널리 사용됩니다. Node.js의 비동기 처리 모델이 API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Node.js는 가벼운 서버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어, 여러 독립적인 서비스로 구성된 마이크로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적합합니다.
대규모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마이크로 단위의 모듈로 분리하여 loosely-coupled한 구조로 만들고 API를 통해 서로 통신
주요 차이점
- HTTP는 요청-응답 모델로 동작하며, 각 요청이 독립적으로 처리됩니다. 반면 WebSocket은 지속적인 연결을 통해 양방향 실시간 통신을 지원합니다.
- HTTP는 웹 페이지나 API 호출에 적합하며, WebSocket은 실시간 상호작용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요약
HTTP는 주로 정적 웹 요청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며, 각 요청이 끝나면 연결이 끊어집니다. WebSocket은 지속적인 연결을 유지하면서 실시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적합한 프로토콜입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