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경쟁 시대의 도래와 한국의 대응 전략
최근 엘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040년이 되면 휴머노이드 AI 로봇이 전 세계적으로 100억 개를 넘어설 것이며, 인구보다 더 많은 AI가 인간 사회에 깊숙이 자리잡을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저출산과 인구 감소에 대한 대안으로 AI의 역할이 더욱 커질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머스크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제8회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에서 “세계 인구 붕괴가 가장 큰 위협”이라며, AI가 인류에게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AI 개발 속도가 빨라진다면 노동력과 생산력 측면에서 인간의 빈자리를 AI가 채우는 미래가 도래할 수 있습니다.
AI 패권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
현재 AI 경쟁력에서 한국은 전 세계 83개국 중 6위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는 미국이나 다른 AI 선도국들에 비해 뒤처진 순위이며, AI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미국과 중국과 같은 강국들이 AI 연구와 인재 영입에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반면, 한국의 AI 인재 수급 상황은 인구 1만 명당 0.3명에 불과한 상태입니다. 이는 향후 AI 기술 개발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스탠퍼드대 AI 인덱스에 따르면, 미국은 AI를 전략 자산으로 인식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과 통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AI 기술이 경제 성장뿐 아니라 국가 안보와도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한국은 AI 기반 법률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로, 글로벌 AI 경쟁에서 도태될 위험이 큽니다.
한국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
현재 윤석열 정부는 2027년까지 AI 경쟁력을 크게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으며, 이를 위해 AI 3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AI 인재 양성 및 관련 법·제도 정비 없이는 이러한 목표 달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미국, 중국과 같은 국가들이 AI 패권을 장악하려는 상황에서 한국은 AI 인재 육성, 법·제도 정비, 글로벌 협력 등을 통해 국가 역량을 총동원해야 할 때입니다.
한국이 AI 시대에 발맞추어 국가 경쟁력을 유지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AI 교육 확대와 연구 개발 인프라 강화가 필요합니다. AI 패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국가적 지원과 법적 기반을 갖춘 종합적인 전략이 절실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