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go로 개인블로그를 만들기
오늘은 윈도우 에서 Hugo로 개인블로그를 만들고 github으로 호스팅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기본 개념을 알고 시작해야조.
개념설명
hugo란 무엇일까요? 휴고? 여기서 Hugo란 static site generator입니다. 정적사이트static site를 명령어 몇개로 자동 생성해주는 커맨드 기반 프로그램입니다.
다음은 사이트를 설명합니다. 정적,동적 사이트입니다.
static site Vs. dynamic site
dynamic site는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쇼핑몰 싸이트를 생각하면 됩니다. 클릭 혹은 마우스 움직임에 따라 바로바로 반응하도록 만든 사이트 입니다. 그에 반해서 static site는 기본적으로 페이지를 하나 열고 나면 반응하지 않습니다. 블로그나 글이 많은 사이트에 적합합니다.
front matter란 무엇일까요? 이건 왜 사용하지?
front matter란 휴고에서 글을 분류하기위해 표기하는 일종의 양식입니다. 테마마다 지원하는 방식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title, date, draft이며, 글의 맨 앞쪽에 작성을 하게 됩니다.
예시)
---
title: "첫번째 글"
date: 2021-03-31
draft: true
---
커맨드 기반 프로그램
커맨드 기반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에서 버튼 클릭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아닌, 특정한 키워드를 터미널에서 타이핑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터미널
터미날은 명령어를 넣어서 프로그램을 조작할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리눅스 혹은 os X의 경우에는 명령어 기반으로 되는 터미널이 어디에서나 존재하지만 윈도우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래서 윈도우용 터미널은 여러가지 많이 존재합니다. git bash, command prompt, windows terminal, powershell..etc. 각각 다른 특징들이 있으나 여기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저는 windows terminal를 사용하겠습니다.
git이란
깃이란 무엇일까요? 깃은 프로그래밍용, 버전 관리용 커맨드 기반 프로그램입니다. 어떤 파일을 수정할 시 그 수정한 시간이나 어떻게 수정했는지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을 생성합니다.
markdown guide(링크): https://www.markdownguide.org/getting-started/
- archetypes : front matter 설정을 위한 default.md이 존재
- content : 블로그에 올릴 글들이 저장되는 곳
- data : 데이터 저장용. 싸이트에 보이지 않음
- layouts : 여기에서 블로그에 실제로 적용되는 큰 틀을 가진 html들
- static : css, js, img파일 등 추가 적인 기능 혹은 사진을 연결하기 위한 폴더
- public: 위의 정보들을 기반으로 html로 생성된 웹페이지.
사용 툴
hugo version : hugo v0.82.0
git version : git version 2.31.1.windows.1
windows : 10
windows terminal: v1.7.572.0
Chocolatey : v0.10.15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