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Checker → CNAME 조회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DNS Checker → CNAME 조회는 도메인의 CNAME 레코드(Canonical Name Record)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에서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
1. DNS Checker 사이트 접속
- 웹브라우저를 열고 DNS Checker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상단의 검색창과 옵션 목록이 있는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2. CNAME 조회 방법
1) 도메인 입력:
- 검색창에 stock.mesek.xyz를 입력합니다.
2) 레코드 유형 선택:
-
검색창 오른쪽 드롭다운 메뉴에서 CNAME을
선택합니다.
(기본값은 A 레코드입니다. 반드시 CNAME으로 변경하세요.)
3) 'Search' 버튼 클릭:
- 검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3. 결과 해석 방법
1) 결과 성공:
-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CNAME 레코드가 ghs.google.com으로 정확히 표시되면 올바르게 설정된 것입니다.
-
예시:
objectivec
CNAME → ghs.google.com
- 이 경우 DNS 전파가 완료된 상태입니다.
2) 결과 실패:
- "Record not found" 또는 "NXDOMAIN" 오류가 나타나면 설정에 문제가 있거나 DNS 전파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3) 일부 지역만 성공:
- 일부 지역에서만 결과가 나오면 DNS 전파 중인 상태로, 최대 48시간 기다려야 합니다.
4. 추가 확인 도구
-
MXToolbox CNAME Lookup
- https://mxtoolbox.com/CNAMELookup.aspx
- 보다 상세한 CNAME 정보를 확인 가능.
-
Google Dig Tool
- https://toolbox.googleapps.com/apps/dig/
- 구글 도구를 이용한 정확한 DNS 레코드 상태 조회.
5. 문제 해결 가이드
-
CNAME 설정 오류 해결:
-
DNS 설정에서 호스트 이름과 값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합니다.
makefile
호스트 이름: stock 값: ghs.google.com
- 설정 후 DNS 전파 대기(최대 48시간).
-
DNS 설정에서 호스트 이름과 값이 정확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전파 완료 후에도 실패 시:
- 도메인 제공업체의 네임서버(NS) 설정 검토.
- 기존 CNAME 레코드 중복 여부 확인 및 정리.
- Google Blogger 설정과 DNS 관리 도구 간 일치 여부 확인.
예시 결과 화면 해석:
지역 | 결과 | 상태 |
---|---|---|
미국 (LA) | ghs.google.com | ✔️ 성공 |
한국 (서울) | ghs.google.com | ✔️ 성공 |
독일 (프랑크푸르트) | Record not found | ❌ 실패 |
일본 (도쿄) | ghs.google.com | ✔️ 성공 |
결론:
- 일부 지역에서는 전파가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전파 완료(최대 48시간)를 기다리거나 설정 오류 점검 필요.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