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시디언 설치 및 초기 설정 1
옵시디언 설치 및 초기 설정
옵시디언은 개인 지식 관리 및 노트 정리를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 사용자를 위한 옵시디언 설치 및 초기 설정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합니다.
1. 옵시디언 설치 방법
-
공식 웹사이트 방문
-
옵시디언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
운영체제 선택
-
Windows, macOS, Linux 중 사용 중인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
설치 파일 실행
-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실행하고 화면의 안내를 따라 설치를 완료합니다.
-
-
프로그램 실행
-
설치가 완료되면 옵시디언을 실행하여 초기 화면을 확인합니다.
-
참고: 설치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공식 사이트의 FAQ 섹션이나 사용자 커뮤니티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볼트(Vault) 생성
옵시디언에서 작업을 시작하려면 **볼트(Vault)**라는 작업 공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볼트는 모든 노트와 파일을 저장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
새 볼트 생성
-
옵시디언을 실행한 후 ‘Create a new vault’(새 볼트 생성)을 선택합니다.
-
볼트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할 위치를 지정합니다.
-
-
볼트 열기
-
새로 생성한 볼트를 열면 기본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포함됩니다:
-
웰컴 노트: 옵시디언 사용법에 대한 기본 안내가 제공됩니다.
-
그래프 뷰(Graph View): 노트 간의 연결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팁: 웰컴 노트를 읽고, 그래프 뷰를 탐색하며 인터페이스에 익숙해지는 것이 좋습니다.
노트와 폴더 관리
옵시디언은 노트와 폴더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1. 노트 생성 및 제목 입력
-
새 노트 생성
-
좌측 상단의 ‘새 노트 아이콘’을 클릭하여 새로운 노트를 생성합니다.
-
-
제목 입력
-
노트의 제목을 입력하고 Enter를 눌러 저장합니다.
-
-
내용 작성
-
노트 본문에 원하는 내용을 입력하여 작성합니다.
-
2. 노트 저장 위치 변경
-
폴더 생성
-
좌측 상단의 ‘새 폴더 아이콘’을 클릭하여 새 폴더를 생성합니다.
-
폴더 이름을 ‘Inbox’로 설정합니다.
-
-
저장 위치 설정
-
좌측 하단의 ‘설정(Settings)’으로 이동한 후 ‘Files & Links’ 메뉴를 엽니다.
-
‘New file location’(새 파일 저장 위치)을 ‘Inbox’ 폴더로 변경합니다.
-
결과: 새로 생성되는 노트는 자동으로 Inbox 폴더에 저장됩니다.
3. 폴더 간 이동 및 하위 폴더 생성
-
폴더 이동
-
노트를 특정 폴더로 이동하려면, 해당 노트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폴더에 드롭(drop)합니다.
-
-
하위 폴더 생성
-
폴더를 선택한 상태에서 새로운 폴더를 생성한 후, 기존 폴더를 드래그하여 하위 폴더로 이동시킵니다.
-
팁: 노트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면 나중에 정보를 검색하고 관리하기가 훨씬 쉬워집니다.
그래프 뷰(Graph View)
옵시디언의 그래프 뷰는 노트 간의 연결 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1. 노트 간 연결 상태 확인
-
그래프 뷰 열기
-
화면 우측 상단의 ‘그래프 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
노트 연결 확인
-
그래프 뷰에서는 노트 간의 연결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연결된 노트는 선으로 표시되며, 색상과 크기로 구분됩니다:
-
생성된 노트: 밝은 색상으로 표시됩니다.
-
링크만 된 노트: 어두운 회색으로 표시됩니다.
-
-
2. 그래프 뷰 창 이동 및 재배치
-
창 이동
-
그래프 뷰 창은 상단의 탭 형태로 열립니다.
-
탭을 드래그하여 화면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분할 창 형태로 재배치할 수 있습니다.
-
-
창 닫기 및 다시 열기
-
필요하지 않을 때는 ‘X’ 버튼을 눌러 닫습니다.
-
다시 열고 싶을 때는 ‘그래프 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활용 예시: 그래프 뷰를 통해 노트 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연결된 정보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링크 생성
옵시디언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노트를 연결하고 외부 리소스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1. 위키 링크 생성
-
기본 사용법
-
노트 간의 연결은 대괄호 두 개(
[[ ]]
)를 사용하여 만듭니다. -
예를 들어,
[[새로운 노트]]
를 입력하면 해당 이름의 노트가 생성됩니다.
-
-
자동 완성 기능
-
대괄호를 입력하면 기존 노트의 이름을 자동으로 제안합니다.
-
-
그래프 뷰와 통합
-
위키 링크로 연결된 노트는 그래프 뷰에 자동으로 시각화됩니다.
-
2. 마크다운 링크 생성
-
외부 링크 추가
-
[링크 텍스트](https://example.com)
형식으로 웹사이트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
예시:
[구글](https://google.com)
-
-
로컬 파일 링크
-
로컬 파일은
[파일 이름](파일 경로)
형식으로 연결됩니다. -
예시:
[이미지](files/image.png)
-
첨부 파일 관리
옵시디언에서 첨부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파일 저장 위치를 체계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1. 로컬 및 웹 이미지 첨부
-
로컬 파일 첨부
-
파일을 노트로 드래그하면 볼트에 자동으로 복사됩니다.
-
-
웹 이미지 첨부
-
외부 이미지는 URL을 사용하여 임베딩됩니다:

-
2. 첨부 파일 폴더 관리
-
파일 폴더 지정
-
설정에서 ‘Files & Links’ 메뉴를 열고 ‘New attachment location’을 특정 폴더(예:
files
)로 지정합니다.
-
-
첨부 파일 확인
-
이후 추가되는 파일은 지정된 폴더로 자동 저장됩니다.
-
마크다운 사용
옵시디언은 마크다운 기반으로 작성되며, 간단한 문법으로 서식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텍스트 서식 추가
-
굵게:
**텍스트**
-
기울임:
*텍스트*
-
체크박스:
- [ ] 항목
-
리스트:
-
순서 없는 리스트:
- 항목
-
순서 있는 리스트:
1. 항목
-
2. 추가 요소 작성
-
코드 블록:
코드 내용
-
테이블:
| 제목1 | 제목2 | 2 |-------|-------| 3 | 내용1 | 내용2 |
팁: 마크다운 문법이 익숙하지 않다면 Editing Toolbar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서식을 간단히 적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옵시디언의 링크 생성, 첨부 파일 관리, 마크다운 작성 방법을 익히면 노트 작성과 관리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기초 기능을 활용해 자신만의 노트 관리 방식을 만들어 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플러그인 활용 및 고급 설정을 다룰 예정입니다.
글 설정 라벨 일치하는 추천 없음 게시 날짜 25. 1. 27. 오후 10:08 링크 위치 검색 설명 옵션 맞춤 로봇 태그 글이 게시되었습니다.글: 수정
댓글 쓰기